전 세계적으로 온라인 중고 제품 거래 시장 규모는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온라인 중고거래 시장에서 제품에 대한 정보는 판매자가 제공하는 정보에 한정되어 있어서 판매자와 구매자 간 정보의 비대칭성이 존재한다. 즉, 구매자는 한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품질, 하자, 사용기간, 합리적인 가격선 등을 추정해야 하는 상황이며, 이러한 정보 비대칭성으로 인한 구매자 피해는 꾸준히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할 때, 중고 제품 거래 플랫폼 입장에서는 판매자들이 중고 제품의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도록 유도하여 윤리적 거래가 이뤄지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윤리적 거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요인으로 경제 계층별 윤리 규범과 지각된 경제적 이동성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본격적인 가설 검증 이전의 예비조사로 진행된 연구 1에서는 경제적 이동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부유층에 대하여 긍정적 태도를 지니고, 부유층의 규범을 따르고자 하는 성향이 강해지는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경제 계층별 윤리 규범과 지각된 경제적 이동성의 상호작용이 중고 시장에서의 윤리적 거래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경제적 이동성을 높게 지각하는 사람들은 부유층의 윤리 규범에 따라, 경제적 이동성을 낮게 지각하는 사람들은 중산․서민층의 윤리 규범에 따라 행동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 제품 거래 플랫폼에서 판매자들의 윤리적 거래 행동을 증진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