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192.107.255
44.192.107.255
close menu
KCI 등재
경험수집 소비행동에 대한 통합적 연구
An Integrative Study of Experience Collecting Behavior
이수현 ( Sue Hyun Lee ) , 이유재 ( Youjae Yi )
UCI I410-ECN-0102-2016-320-000427841

본 연구에서는 경험수집 소비행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경험수집 현황, 유형, 주요 동기, 가치, 그리고 경 험수집 단계와 확산과정 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차례의 문화기술적 면담(ethnographic interview)과 3차례의 서술형 설문조사를 순환적으로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험수집을 해본 비율은 물질수집과 비슷했지만, 현재도 수집을 하고 있는 경우는 경험수집(76.0%)이 물질수집(58.7%)에 비해서 높았으며, 수집을 중단한 적이 있는 비율은 경험수집(67.4%)이 물질수집(93.6%)보다 낮았다. 경험수집 중단 이유로는 경제적, 시간적 제약이 가장 많이 언급된 것에 비해서, 물질수집 중단 이유로는 의미/재미가 없다고 느껴지게 되었다는 점과 경제적 제약, 공간 부족문제가 많이 언급되었다. 둘째, 경험수집의 유형은 체험(여행, 식당/카페 방문, 레저/스포츠 활동), 관람(영화, 공연, 전시회/박물관 등), 자기개발(스펙 쌓기와 관련된 경험)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었고, 이 중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하는 경험 수집은 ‘체험’과 관련된 것이었다. 셋째, 경험수집 동기는 크게 ‘나의 성장’, ‘삶의 즐거움’, ‘사회적 관계에서의 만족’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었는데, 이 중 ‘삶의 즐거움’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물질수집과 가장 차이가 나는 동기는 ‘나의 성장’이었다. 넷째, 험수집의 만족도가 물질수집의 만족도에 비해 높았으며, 물질수집과 차별화되는 경험수집의 가치는 ‘내적 성장’, ‘추억의 보존’, ‘정서적 만족’, ‘타인과의 긍정적 관계 형성’ 등의 순서였다. 특히 경험수집의 동기로서는 부각되지 않았던 ‘추억의 보존’이 두 번째로 중요한 가치로 나타났는데, 경험수집에서 좋았던 기억을 추억으로서 보존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될 때 물질수집이 경험수집의 보완재 역할을 하게 된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할 만하다. 다섯째, <수집할 경험의 선정/계획 ⇒ 경험수집 ⇒ 수집한 경험의 보존(추억) ⇒ 수집한 경험의 공유>의 4단계로 이루어지는 경험수집은 축적될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며 끊임없이 가치가 창출되는 동태적 행동이다. 현재의 경험수집 행동과 만족도는 과거의 경험에 대한 추억과 미래의 경험수집에 대한 계획으로부터 전후방적인(forward-backward)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경험수집을 한 번 시작하면 지속할 가능성과 더 다양한 분야에서 경험수집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여섯째, 사회의 변화에 따른 개인적 수요의 증가와 매스미디어와 SNS를 통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경험수집은 앞으로 더욱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소비자들이자신의 경험을 주변 지인에게 공유하고, SNS/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공유함으로써 경험수집 행동이 더 확산되는 데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사회적 학습, 대리 만족기회 제공, 긍정적 피드백을 통해서 행복감, 뿌듯함, 즐거움 등을 전파하는 선순환적인 매커니즘을 형성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행동 관점에서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검토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Experience collecting behavior is a large-scaled phenomenon that can be observed easily.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regarding experience collecting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s, types, major motivations, values, processes and diffusion of experience collect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the authors conducted three rounds of ethnographic interviews and three rounds of descriptive surveys rotationally in order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experience collect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respondents who have collected experiences at least once appears to be similar with the ratio of respondents who have collected objects at least once. However, in terms of the current collection, the ratio of the experience collection (76.0%) is much higher than the one of the object collection (58.7%). In case of ever stopping the collecting process, the ratio of the experience collection (67.4%) is much lower than the one of the object collection (93.6%). The experience collecting process was stopped mainly due to problems such as the economic or time-related limitations, whereas the object collecting process was stopped mainly because it no longer provided any kind of meaning/fun or there were economic and spacerelated limitations. Second, the experience collection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including ‘direct experience’ (such as travels, visits to extraordinary restaurants/cafes, and leisure/sporting activities), ‘watching experience’ (at such places as movies, concert halls and exhibition centers/museums) and ‘personal development experienc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personal skills useful for employment). Among such categories, ‘direct experience’ is the one which consumers tend to carry out the most. Third, the motives of experience collection can be classified into ‘personal growth,’ ‘pleasure in life’ and ‘satisfaction in social relations.`` Among these three categories, ‘personal growth’ can be seen as the category with the biggest difference compared to object collection. Fourth, the values of the experience collection,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ones of the object collection, include ‘the intrinsic growth,’ ‘the preservation of memories,’ ‘the emotional satisfaction’ and ‘the formation of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In particular, ‘the preservation of memories,’ which has not been mentioned as the motivation of experience collection, is regarded as the second important value. When it is necessary to preserve good memories in the experience collecting process, object collection can play the role of a complementary good for experience collection. Fifth, experience collection can be regarded as a dynamic behavior which increases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reates values based on the level of accumulation. The current experience collecting behavior and the related level of satisfaction are subject to the forward and backward influence of the memories related to the past experience and the plans for the experience collection in the future. Last, once the experience collecting process is started, it is likely that the process is continuously carried out in more fields due to its high values and utility. Moreover, as consumers share their experience with their friends and other unspecified people through the SNS or online communities, the experience collecting behavior is spread more. This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consumer behavior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Ⅳ. 연구방법
Ⅴ. 연구 결과
Ⅵ. 결론 및 연구한계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